테니스 이론.기술분석

테니스 체중이동..관성력을 만드는 주체.. 히프(엉덩이) 먼저

TENNISEYE 2022. 3. 18. 22:43

아가시 동영상

테니스에서 움직임의 특징은...


1.  짧은 거리를 빨리 가야 한다.

 

2.  도착후에 스윙을 해야 하므로, 짧은 거리를 움직이지만 밸런스를 유지하면서 움직여야 한다.

테니스에서 어떤 방향으로 움직일 때는 항상 스플릿 스텝을 한다.


스플릿 스텝시의 몸은 어떤 방향으로도 치우치지 않는 정지된 상태로, 그 위치에서 밸런스를 유지하고 있다.


이 상태는 정지되어 있지만, 어떤 방향으로도 움직일 수 있는 최적의 준비된 상태이다.

그 다음 공 방향으로 움직이면 된다.

그런데 여기에서 문제가 있을 수 있다.


방향이 정해졌다고 해서, 그량 스텝을 한다고 해결되는 문제가 아니다.

 

왜냐하면, 짧은 거리를 빨리 가야 하는 것도 있지만, 최적의 밸런스를 유지한 채로 가야하기때문이다. 그래야 스윙을 제대로 할 수 있다.

방향 전환이라 함은 새로운 방향(타점방향)으로 '관성력'을 새로 만든다는 것이다.

 


이 관성력은 우선 그 방향으로 몸이 쓰려지는 힘을 만들어야 한다.(자전거를 타면서 방향을 바꿀 때, 핸들도 틀지만, 먼저 히프를 그 방향으로 기울여주는 것과 같다.)

 

쓰러지는 힘을 만들고 나면(물론 쓰러지지는 않는다.. 단지 시작할 힘을 만드는 것이다),그 방향으로 탄력이 생겼으므로, 이 후 발을 움직이면 상체도 그것에 맞게 움직인다.

 

즉 움직일 때 몸 전체가 조화를 이루면서 움직이는 것이다. 문제는 새로운 관성력을 만드는 주체는 무엇이냐는 것이다.

어떤 글에는 머리를 먼저 그 쪽으로 기울여서 그 방향으로의 관성력을 만들어야 한다고 주장한다.

아래의 글에서는 약간 다르게 주장을 한다. 이 글에서는 관성력을 만드는 주체는 히프라고 한다.

히프를 움직일 방향으로 움직이게 되면, 몸은 그 방향으로 관성력이 생기기 시작한다. (히프자체가 무게중심 근처이고 그 자체가 무거운 것이라, 약간만 움직여도 큰 힘을 낼 수 있다.


즉 무리한 움직임이 하지 않아도 상체를 움직일 힘을 가지고 있기에 부드러운 움직임을 만들어 낼 수 있는 것이다. 결국 부드럽기 때문에 밸런스 있는 움직임이 가능하다.)

어떤 방향으로 움직일 때도 순서가 있을 것이다.

 

그 순서의 A(첫번째)는 히프를 그 방향으로 움직여 관성력을 만드는 것이다. 그 방향이 앞이든 뒤던 오른쪽이든 왼쪽이든 관계없이..


두번째가 발을 움직이는 것이다 = 스플릿 스텝

 

이 방법은 서브에서도 적용됩니다. 서브에 파워가 나지 않는 경우 엉덩이를 먼저 턴해서 베이스라인 안으로 넣고..후에 자연스럽게 임펙트 동작. 

관련 있는 글
  1. 테니스 포핸드 채찍 스윙의 핵심
  2. 테니스에서 라이징 볼 공격적으로 처리하는 방법
  3. 더블밴드 암 테니스 포핸드의 장점
  4. 테니스에서 공을 앞에서 치면 좋은 이유
  5. 테니스 포핸드 정복 - L자형 속목 만들기
  6. 테니스 고정관념 깨기..작은 백스윙
  7. 테니스 포핸드를 고급 스럽게 - 3가지 팁
  8. 테니스 포핸드 와이퍼 스윙이 잘 안되는 이유와 해결방법
  9. 테니스에서 무릎을 적당하게 구부리라고 하는 이유..2가지
  10. 테니스 초보탈출 2

반응형